#5 시리얼(Serial) 통신 아두이노 간 통신으로 비 동기식 방식인 UART(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/Transmitter)와 동기식 방식인 I2C(Inter-Intergrated Circuit), SPI(Serial Peripheral Interface)를 주로 사용합니다. 그중에서 아두이노의 가장 기본이 되는 통신은 UART 시리얼(Serial) 통신입니다. 아두이노 스케치를 컴파일한 후 아두이노 보드에 업로드할 때에도 이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게 됩니다. 아두이노와 아두이노 간의 연결, 아두이노와 컴퓨터 간의 연결 모두에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와 컴퓨터 간의 시리얼 통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때 컴퓨터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것은 아두이노 보드의 0번과.. 더보기 #4. 예제01 - LED 깜박이기 첫번째 프로그램으로 LED 깜박이기를 작성해볼까요?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는 LED가 하나 있습니다. 이 기본 LED는 별도의 하드웨어 연결 없이 제어가 가능합니다. 이때 사용하는 핀은 디지털 출력 13번입니다. 그럼, 스케치를 작성해봅시다. 아두이노 스케치는 기본적으로 2개의 함수를 포함합니다. 1. setup() 함수 아두이노가 시작되는 처음 단계에서 한 번만 실행주로 초기 설정과 관련된 코드를 setup 함수 안에 삽입 2. loop() 함수 setup 함수가 한번 실행되고 난 뒤 loop 함수가 계속해서 반복해서 실행loop란 컴퓨터 분야에서는 "무한 반복"이라는 뜻 그럼, 내부를 들여다볼까요? LED를 깜박인다는 의미는 LED를 켰다가 잠시 후 끄고, 다시 잠시 후에 켜기를 반복하는 것입니다. 이.. 더보기 #3. 아두이노 IDE(통합개발환경) 아두이노 IDE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; 통합개발환경)은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도구들을 하나로 모아 정리해 놓은 것으로 아두이노가 작동하려면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드에 업로그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아두이노 IDE입니다. 아두이노 IDE 다운로드 - 아두이노 홈페이지(https://www.arduino.cc/)에 접속하여 아두이노 IDE를 다운로드 아두이노 IDE 설치하기 - 아두이노 IDE 설치과정 컴퓨터와 아두이노 연결하기 - 준비물 - USB B선을 아두이노 우노의 USB 포트에 끼우고, 반대편은 노트북/PC의 USB 포트에 연결한다. ▶ 아두이노 IDE 실행하기 메뉴: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능툴바: 메뉴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모아 놓은..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